|
高麗史』「樂志」에 나타난 三國~高麗歌謠의 相”, 『고전과 해석』, Vol.10,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1. 참고.
속요 연구 등에 있어서 《고려사》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등에 비해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던 경향이 있어 많이 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高麗史』, 卷 41, 恭愍王 18年 9月 辛酉)
토목공사로 인하여 눌려 죽고 혹은 물에 빠져 죽는 자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그 폐해가 컸으며, 이로써 백성들의 원망은 심해졌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돈의 정치개혁에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高麗史》<樂志>의 俗樂歌詞에 관한 종합적 고찰」, 『韓國 詩歌硏究』 권 13, 한국시가학회, 2003.
여운필,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에 대하여」, 『논문집』제 59집, 부산여자대학, 2009.
전용우, 「《高麗史》<樂志>의 史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할 필요가 있다.
≪高麗史≫ 兵志를 보면 병력 수를 병종별로 구별하여 표시할 때 언제나 보승군 항을 먼저 쓰고 그 다음에 정용군 항을 썼다. 이 같은 기재방식은 양자간의 제도적 서열을 표시하며 보승군이 정용군에 비하여 상위의 군사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高麗史, 高麗史節要, 韓國金石文追補, 李子淵とその家系 (藤田亮策, 靑丘學叢 13·15, 1933·1934).
ㆍ <고려사> 제 95권 열전 제8 이자연
ㆍ홍승기, 「고려초기의 녹읍과 훈전」, 『사총』 21·22, 고려대 사학과, 152∼55쪽.
ㆍ이우성, 「한인·백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