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훈, 「<청산별곡>과 <납씨가>와의 관계」/「<서경별곡>과 <정동방곡>·<永觀>과의 비교」, 『국악논고』, 서울대출판부, 1966.
개국 후 10년이 지난 태종 2년(1402)에 당시의 곡들에 대한 실제적인 검토가 있었음을 자료를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4.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조
-고려후기는 이 네 요소의 변화가 가장 많은 시기였음
⑴ 표현매체: 향찰이 없어지고, 우리 말이나 한자 표기
⑵ 문학담당층: 전기까지는 문벌귀족, 후기에는 무인-권문세가-신흥사대부
⑶ 갈래체계: 새로운 갈래가 소멸·생성 (향가·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람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되며, 궁중에서 연주하는 정격음악의 출발로 볼 수 있는 노래이다.
이 <도솔가>는 \'차사사뇌격\'(嗟辭詞腦格)을 갖추었는데 \'차사\'는 감탄사 또는 감탄음을 뜻하며, 이는 후대의 향가를 가리키는
|
- 페이지 22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가(사뇌가)의 개념과 성격 고찰
I. 들머리
II. ‘三國遺事’와 ‘均如傳’에 언급된 用語들의 槪念 정리
1. 鄕歌가 언급된 用語
2. 詞腦가 언급된 用語
3. 詞가 언급된 用語
4. 詞腦歌의 性格이 드러난 用語
III. 다섯 用語에 관한 정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뇌격(詞腦格) 형식의 향가 중의 하나인 <원왕생가>는 10구체 노래의 유래에 관한 배경 설화와 함께 향찰로 표기된 원문이 <삼국유사> 권5 광덕엄장조(廣德嚴莊條)에 수록되어 있다.
<삼국유사> 권 제5 감통 제7 광덕(廣德)과 엄장(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