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제조사권의 한계와 대안, 한국공정경쟁연합회
진보네트워크센터(2002) - 반감시권 : 내가 꼭 알아야 할 정보화시대의 인권 Ⅰ. 강제조사권
1. 강제조사권
1) 실효성 여부
2) 외국과의 비교
2. 과징금의 상향조정
Ⅱ. 반감시권
1. 정보사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5.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강제조사권을 확보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짐
2) 적발 및 시정실적
○ 공정거래법이 제정된 ‘81년 이후 카르텔로 적발하여 조치한 건수는 경고이상의 기준으로 볼때 421건에 이름
- 특히 검찰에 고발한 건수도 11건에 이르고 있음
- 건당 과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5.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사권을 위탁하고 압수ㆍ수색 등을 할 수 있는 강제조사권은 금융위원회가 보유하고 있다. 금감원의 임의조사권은 혐의자가 응하지 않아도 강제할 수 없다. 또 금융위의 강제조사권도 인신을 구속할 수 없어 실제로는 거의 무용지물이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사권을 강화하고 조사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크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감독기관에게 강제조사권을 부여하는 것은 각국의 공통된 입법이다.
참고문헌
김성진, 김종근(2010),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17.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강제조사권이 부여되어 있을 뿐 재무제표사기 일반에 관하여서는 금융감독기구의설치등에관한법률 제40조에 의하여 금융감독원은 법에 의하여 금융감독원에 조사가 위탁된 대상기관에 대하여 업무재산의 보고, 자료의 제출, 관계자의 출석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