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le에 채운 표준사의 무게 및 부피
각각 시험전의 ‘시험기+표준사’ 및 ‘시험기+남은 모래’ 무게
각각 Test Hole에서 파낸 ‘습윤토’ 무게 및 현장에서 측정한 함수비
각각 실내다짐의 최대 건조밀도 및 상대 다짐도
4. Data sheet 작성
⑴ 사용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장에서 Test hole에 모래를 채울 때 주변에 진동이 없도록 주의해야 하는데 망치로 진동을 주어 밑판에 모래가 더 들어가 모래가 조밀하게 채워져서, 최소 건조밀도 상태가 아니고 부피는 실제보다 더 크게 산출되지 않았나 하는 개인적인 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것으로 생각이 되나, 채취 시료의 자 갈의 함량이 적어서 그 값을 무시하고 계산하였다.
■ Conclusion
1) 습윤단위중량이 2.13, 함수비 12.35%로 건조단위 중량이 1.90t/m3 최대건조밀도 1.96이다.
2) 상대다짐도는 96.81%로 현장에서의 다짐도는 우수하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조밀도 검정
자유 낙하된 모래의 무게는 재기 쉽지만, 부피의 측정은 약간 복잡하다. 모래가 자유 낙하될 때에는 시험장소의 주변에 진동이 있어서는 안 된다.
진동이나 충격을 받으면 모래가 조밀하게 쌓이므로 밀도가 더 커지게 때문이다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조단위중량의 어느 일정 비율로 한정한다. 위의 다짐 곡선에서 꼭지점이 최대건조밀도(γmax )와 최적함수비(OMC)이다.. 그 값은 대략 최대건조밀도(γdmax ) = 1.81t/㎥, 최적함수비 = 15.25%이다. 위에서 말했다시피 최적함수비로 다져야 가장 효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