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2건

 1. 서론 2. 기존 연구사 검토 2.1 견우노옹(牽牛老翁) 2.2 수로부인(水路夫人) 2.3 암소(牽牛) 2.4 주선(晝饍) 3. 작품의 원전 및 특성 검토 4. 역사 문헌적 검토(배경설화 분석) 5. 텍스트 확정 5.1 원문 5.2.1 1행 - ‘紫布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牽牛 견우 (風毒脚氣腸秘,蜜丸日服,亦生呑之。) 견우는 풍독 각기 장의 변비에 꿀로 환을 만들어 날마다 먹으면 또한 날것으로 삼킨다. 威靈仙 위령선 (脚氣入腹,脹悶喘急,爲末,酒服二錢, 或爲丸服,痛減 藥亦減。) 위령선은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牽牛/織女星 좌간견우직녀성: 앉아서 견우직녀성을 바라본다. - 가을에 왜 부채를? ⇒가을의 부채는 쓸모없는 것이다. 가을 부채를 들고 있는 여인은 남자에게 버림받은 모습을 상징한다. 이를 정운의(情韻義)라 한다. 화 병 : 그림이 그려진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牽牛 견우 (疳氣 耳聾,入猪腎 食。) 견우는 감증기 이롱에 돼지콩팥을 넣고 싸서 구워 먹는다. 樓根 과루근 (煮汁,釀酒服,治聾。) 과루근은 달여 즙을 내어 술을 빚어 복용하면 이롱을 치료한다. 黃芩 황금 黃連 황련 龍膽 용담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牽牛一去後 견우와 이별한 후에 愁擲壁空虛 슬픔에 겨워 벽공에 던졌다오 직녀의 빗은 견우와의 사랑을 상징한다. 상대를 사랑하는 만큼 그 물건은 소중히 간직될 것이다. 당시 사회의 이상적인 여성이었다면, 떠나간 임을 평생동안 그리면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