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7건

계반삽시(啓飯揷匙) 10) 합문(闔門) 11) 계문(啓門) 12) 헌다(獻茶) 13) 철시복반(撤匙復飯) 14) 사신(辭神) 15) 철상(撤床) 16) 음복(飮福) 2. 현대식 제례 절차 1) 신위 봉안(神位奉安) 2) 초헌(初獻) 3) 독축(讀祝) 4) 아헌(亞獻) 5) 종헌(終獻) 6)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란 문을 여는 것을 말한다. 제주가 앞에 서서 기침을 하고 일동을 데리고 들어간다. 12. 헌다(獻茶) 슝늉을 갱과 바꾸어 올리고 메(밥)을 조금씩 3번떠서 말아 놓고 정저한다. 이때 메에 꽂아 놓은 숟갈을 숭늉그릇에 반드시 담그어 놓는다. 13.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0.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계반삽시(啓飯揷匙)- \'삽시정저(揷匙正箸)\' 메 그릇의 뚜껑을 열어 수저를 꽂는다. ⑨합문(閤門)- 문 닫고 기다리기 ⑩계문(啓門)과 헌다(獻茶)- 문을 열고 들어와 갱(국)을 내려놓고 숭늉을 올려 메를 세 숟가락 떠서 숭늉에 넣는다. ⑪철시복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계반삽시(啓飯揷匙): 메의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은 적이나 편에 올려놓는 절차로 삽시정저(揷匙正著)라고도 한다. 추석 때에는 젓가락을 송편 위에 올려놓으면 된다. ⑧ 합문(闔門): 조상님이 식사를 할 수 있는 시간이다. 참사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1.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삽시(揷匙) 7) 헌다(獻茶) 8) 사신(辭神) 9) 철상(撤床) 10) 음복(飮福) 3. 전통식 제례 절차 1) 영신(迎新) 2) 강신(降神) 3) 참신(參神) 4) 초헌(初獻) 5) 독축(讀祝) 6) 아헌(亞獻) 7) 종헌(終獻) 8) 첨작(添酌) 9) 계반삽시(啓飯揷匙) 10) 합문(闔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08.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