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낭가사상의 역사의식
4. 역사주체 인식의 변화
Ⅳ. 신채호의 고대사 인식
1. 독사신론의 고대사 체계
2.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의 고대사체계
1) 상고사의 체계화 시도
2) 부여·고구려 중심의 체제
Ⅴ.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군-부여-고구려 중심의 고대사체계를 세우고 그 무대를 한반도에 한정하지 않고 중국 동북지역과 요서지방까지 확대했다. 그리고 종래 한반도에 있었다고 본 한사군을 반도 밖에 있었거나, 실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고대사 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대국가의 건국신화(단군, 해모수, 주몽, 혁거세, 알영, 탈해, 수로, 알지 등)를 증명 불가능한 것이라 하여 비판하였다. 말하자면, 과학적으로 증명될 수 없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동방지명지변(東方地名之辯)과 삼한지방지변(三韓地方之辯)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