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국신화의 전승 양상과 의미, 비교민속학회, 2003
박수미, 고조선과 고구려 건국신화의 구조주의적 분석, 한국국학진흥원, 2011
박찬복, 고려 건국 신화의 구조와 특성 연구, 서강대학교, 2000
이지영, 한국 건국신화 연구의 동향과 그 전망, 동아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세계는 다만 그런 사실과 계보만을 언급하고는 바로 편년통록의 건국신화를 거론하고 있다. 이런 편집방식을 통해 추론할 수 있는 것은 태조실록은 편년통록과는 달리, 그야말로 사실만을 기록하고 있었으리라는 점이다. 이는 적어도 고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 왕조 실록, 들녘, 1999
이도학, 궁예·견훤·왕건의 열정의 시대, 김영사, 2000
정성희, 인물로 읽는 고려사, 청아출판사, 2000 Ⅰ. 개요
Ⅱ. 고려 태조왕건의 생애
Ⅲ. 고려 태조왕건의 일리천 전투
Ⅳ. 고려 태조왕건의 고려건국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국신화의 신성족관념, 국민대학교
강현모(2003), 백제 건국신화의 전승 양상과 의미, 비교민속학회
유인수(1990), 고려 건국신화의 연구 : 설화적 측면에서, 한양대학교
정원주(2009), 고구려 건국신화의 전개와 변용, 고구려발해학회
조현설(1999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에 적대적인 세력으로 볼 수 없게 된다.
나주의 지방세력은 독립적인 지배체제를 지니다가 견훤과 왕건의 여러 차례에 걸친 쟁탈전 끝에 왕건 즉, 태봉의 영역에 편입된다. 나주지방은 왕건의 지지세력으로 왕건의 고려 건국 후 그 지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