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서술을 통해 근대 역사학으로 넘어가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 데에 있다. 1. 삼국시대의 역사인식과 역사편찬
2. 통일신라시대의 역사인식
3. 고려전기의 역사의식과 서술
4. 고려후기의 역사의식과 역사서술
5. 조선전기의 역사의식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재와 차이가 있다.
고려후기의 기타사서로는 동명왕편을 들 수 있다. 동명왕편은 이규보가 고구려계승의식이 강렬하던 무신집권기에 저술한 책으로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왕의 사적을 읊은 장편서사시이다. 이사서는 삼국사기에 빠져있는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先行作業」, 『고려시대연구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1. 머리말
2. {고려사}의 교감, 역주 현황
3.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편찬과정과 주체
4. 사관과 서술상의 특징
1) 두 사서의 비교
2) 유교사관
5. 맺음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사인식』, 창작과비평사 1976)
정구복, 『고려후기의 역사인식과 역사서술』
(『한국사론 6』, 국사편찬위원회, 1981)
이재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비교』(충남대학, 1983)
高柄翊, 『三國史記에 있어서의 歷史敍述』
(『金載元博士回甲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사를 서술하였으며 시공간적으로 역사연구의 대상을 확대했다.
1. 17세기역사서술과 역사인식
17세기는 붕당정치가 궤도에 오르던 시기로 각 붕당간의 이해관계에 따라 정치사상이나 학문경행이 달랐고, 붕당의 역사의식을 강조하는 개성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