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⑦식목도감
고려 전기 정치제도가 형성된 성종 이후 현종 초 사이에 설치되었다. 문종 때 관제를 정비하여 사(使) 2인, 부사(副使) 4인, 판관(判官) 6인, 녹사(錄事) 8인을 두었는데, 실제는 수상이 사, 추밀원의 추신(樞臣)이 부사가 되어 회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급하지 않았다.
⑤ 농민은 평민 신분으로 부역과 공납의 의무를 졌다.
88. 고려 시대의 문벌 귀족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 [영등포고, 경신고]
① 문과에는 떨어졌으나 무과에 합격하여 장군이 되었다.
② 지방 호족이 아들이었기 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와 조선의 중앙관제 비교
왕
임시기구
도병마사
식목도감
고려의 독자적인 정치기구
만장일치제 (귀족정치적)
(최고회의기구)
국방문제 등 국가중요 정책협의
법제와 격식
2성
양부
상서성
중서문하성=재부
↔
중추원=추부
양부: 정치권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4,300원
- 등록일 2013.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5)사회구조
6)사상과 문화
[1]고려 전기의 유교 - ①중세초기의 유교 ②천명사상 ③민본사상 ④정치사회론
[2]고려 후기의 유교 - ①주자성리학의 수용 ②천명사상 ③민본사상 ④정치사회론
7)고려시대의 불교
3.결론
4.참고문헌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목도감을 도평의사사 다음 항목으로 세우게 된 것은 타당하다.
식목도감 다음으로 항목이 설정된 도감은 8번째의 會議都監과 9번째의 迎送都監이다. 따라서 회의도감과 영송도감도 도감으로서는 중요 관부임을 알 수 있다. 고려 후기에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