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돈의 제거 사실을 인정하고 있었다는 증거일 것이다. 김영수, 앞의 논문(下), p. 40.
Ⅴ. 맺음말
우리는 지금까지 신돈의 정치개혁과 그 한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신돈은 공식적으로 고려 말 공민왕 14년(1365) 등장하여, 공민왕 20년(1371)에 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돈의 역사는 개혁에 대한 중요한 기록으로서 큰 교훈을 제공할 것이다.
<참고문헌>
재단법인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고려사절요』上,下 , 2004
김헌식, 『신돈, 미천하니 거리낄 것이 없네』, 2006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인의 불의를 보고 투쟁하는 정신과 합리적인 판단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었다.
넷째, 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요소를 배울 수 있다.
신돈의 개혁정치는 비록 실패하였지만, 성공적인 개혁의 요소에 대한 교훈 점을 시사한다. 성공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돈의 개혁도 실패하고 말았다. 그러나 공민왕과 신돈의 좌절은 단지 두 사람의 좌절로 끝나지 않는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두 사람의 좌절은 고려 왕실을 중심으로 한 고려 지배층 내부의 개혁이 실패로 끝났음을 뜻한다. 이제 개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3.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는 실로 첨의의 선치로 말미암은 것이리라.”라고 말하였다. 이처럼 공민왕은 신돈에게 큰 기대감을 나타내었고 신돈은 실제로 공민왕의 뜻에 부응하는 여러 가지 개혁 정책을 내놓았다 일반민의 경우는 신돈을 일컬어 ‘신승’이라 하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0.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