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본이 마땅하며 인삼, 황기를 배로 한다.
(保壽堂治正、偏頭痛,白芷、川芎各三錢,牛腦上,加酒頓熟,熱食盡醉,其病如失。)
보수당에서 정두통, 편두통을 치료함에 백지, 천궁은 각자 12g이며 우뇌를 위에 비비며 술로 더하여 익히면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또한 적작약은 혈을 이롭게 하며 백작약은 겸하여 기를 보하니 또한 적작약, 백작약의 뜻은 여러 의사가 한성을 말함이니 어찌 신미로 향기가 나며 차겠는가? 사상 고본 백지 백작약 적작약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본 여청 산내 발계 율초
(毒溫鬼邪氣。)
목향 피훼뢰 서장경 귀독우 고본 여청 산내 발계 율초는 함께 독기 온독 귀신과 사기를 피하게 한다.
白茅香 茅香 蘭草
백모향 모향 난초
(煎湯浴,疫氣。)
백모향 모향 난초는 함께 달여 탕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석사논문. 연세대 대학원.1984.
7)강진모. “『고본 춘향전』의 성립과 그에 따른 고소설의 위상 변화” 석사논문. 연세대 대학원. 2003.
8)안남순. “<춘향전>에 나타난 전통의 교육적 의미” 석사논문. 부산대 교육대학원. 2003.
9)김진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출판사, 1991
진은진, 「女性探索譚의 敍事的 傳統 硏究」 ,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2
김경완, 「춘향전의 기독교적 시각: 고본 춘향전을 중심으로」 ,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없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