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고령지역의 고분입지와 내부구조
1) 고분의 입지
2) 내부구조
2. 대가야 시대의 고분군
① 고령읍 지산리 고분군
② 고령읍 본관리 고분
③운수면 월산리 고분군
④우곡면 도진리 고분군
⑤성산면 박곡리 고분군
3. 고분에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잃어버린 왕국 대가야』, 도서출판 창해, 2005.
김원룡, 『한국의 고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Ⅰ. 들어가는 말
Ⅱ. 가야의 고분
Ⅲ. 고분의 분포
Ⅳ. 고분의 입지
Ⅴ. 고분의 구조
Ⅵ. 주요 고분
Ⅶ. 나오는 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분군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면 지산동 일대에 분포하는 가야의 무덤떼로 사적 제79호이다. 고령은 삼국시대에 대가야가 위치했던 지역으로서 당시의 무덤들이 많이 남아 있다. 그중에서 지산동고분군이 무덤의 입지나 규모 면에서 중심적인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편, 『가야문화유적조사 및 정비계획』, 가야대학교, 1998
김세기, 『고분 자료로 본 대가야 연구』, 학연문화사, 2003 Ⅰ. 고분
Ⅱ. 가야 고분
1. 고분의 분포
2. 입지
3. 구분의 구조
4. 주요고분
Ⅲ.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분 영산강유역의 전방후원형고분에 대해서는 장고분, 장고형고분, 전방후원분 등 다양한 명 칭이 사용되고 있다.
박중환 1997, 「광주전남지역 장고형고분의 분구에 대하여」, 『호남고고학보』5, 호남 고고학회.
이 등장하기도 하는데 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5.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