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악보를 후세에 남겼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선공감(繕工監)의 정(正)이 되고, 이듬해 괴산군수가 되어 이괄(李适)의 난으로 소란해진 민심을 수습하고 관기를 바로잡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청주의 신항서원(莘巷書院)과 청안(淸安)의 구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악보가 거의 다 거문고 악보이고 양금 악보가 조금 있으며 다른 악기는 순전히 구전(口傳)에 의한 것이다. 지금도 국악이론 전공자는 고악보 해독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거문고는 다른 악기보다 전통을 중요시한다고 하겠다. 거문고는 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2.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악보에는 거문고보에 청성 잦은 한입이 실려 있고 고음반에는 독주곡뿐만 아니라 합주곡으로 실려 있다. 또한 연주관련 기록을 보면 단소와 생황, 해금과 생황 등의 중주곡의 형태로도 실려있었고 이왕직 아악부 아악보에는 현재 연주되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악보는《대악후보(大樂後譜)》권 7 에 전함.
기보법(記譜法)은 오음약보(五音略譜)와
16정간(井間) 6대강(大綱)의 정간보(井間譜)를 병용.
대악후보에 전하는 조성(調性)은 계면조(界面調), 음역은 하오(下五)에서 상삼(上 三)에 이르는 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악보와의 대비 등을 중점 지표로 하여 판별하는 방법이 현재로선 가장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시조를 수록한 각종 가집을 크게 4개의 시대별 군집으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박노준, 『사설시조 엮어 읽기(하)』, 태학사, 2003, p.1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