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금신보>>
편찬연대 : 조선 중기(1610년)
저자 : 양덕수(梁德壽)
1610년(광해군 2) 양덕수(梁德壽) 편찬한 거문고 고악보이다.
엮은이가 임진왜란을 피하여 남원에 갔다가 임실현감인 친구 김두남을 우연히 만났다. 김두남은 양덕수에게 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금의 병주
가락덜이
3장
10박 1장단
세령산 1장~3장가락을
줄여서 파생
삼현도드리
4장
1장 - 10박 1장단
나머지-도드리장단
(6박자)
1장-돌장(가락덜이와 연결)
나머지-6박자도드리음악
1장 = 4장(선율반복)
하현도드리
4장
도드리 장단
삼현도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금신보}의 \'요사이 연주되는 대엽의 만 중 삭은 모두 정과정의 삼기곡에서 나온 것이다\'라는 글에서 확인된다. 아울러 만대엽이 조선전기에 나타난 새로운 음악형식의 성악곡이었으며, 5장 형식으로 된 만대엽은 중대엽의 형식과 같다. 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금신보 등에도 있지만, 악학궤범에서 이미 쓰이고 있다.
※현금 지법
┗(挑) : 랭(양청)
┛(勾) : 랭(양청, 안현)
┃ : 겹술(유현, 무현, 대현, 괘상청에서 멈춤)
━ : 겹술(유현, 무현, 대현, 괘상청 이하까지)
(左) : 외술(하나 현을 치는 것)<바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금신보> 에 보면 [시용만중삭 개출어정삼기회중] 이라 하여 느림, 보통, 빠름의 삼체는 이미 고려때 일명 [진작] 으로 이르던 [정과정곡]에 연유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가곡] 의 <만대엽 <중대엽> <삭대엽>, [영산회상] 의 <상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