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사 1, 원시사회에서 고대사회로』, 한길사, 1994
『한국사 3,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국사편찬위원회. Ⅰ. 머리말
Ⅱ. 본문
1. 고인돌의 분포
2. 고인돌의 형식
3. 고인돌의 제작 시기
4. 고인돌 무덤의 주인
Ⅲ. 맺음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기와 고환경해석을 위한 지질연구, 한국상고사학회
이영문(2006) - 한국 지석묘 조사성과와 연구경향, 한국고대학회
우종윤(1984) - 남한강 유역의 선사문화 연구: 제원 황석리 고인돌 유적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최성락(1987) - 지도의 선사유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포와 형상
3-2. 칠포리 암각화의 형상과 의미에 대한 학설
4. 석장동 암각화
4-1. 석장동 암각화 형상
4-2. 암각화의 성격과 상징의미
4-3. 전체적 성격
5. 상신리 암각화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기에 요하이동에서 한반도 서북지방에 걸쳐 청동기와 함께 고인돌·돌널무덤을 조영하고 팽이형토기(한반도 서북지방) 및 미송리형토기를 사용하는 주민집단이 살고 있었다. 이 지역을 세분해보면 요하 옆의 혼하(渾河)유역과 길림 일대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기에 비해 종류도 다양하며, 제작기술도 매우 뛰어났다.
쓰임새에 따라
농사도구: 돌낫, 반달돌칼, 돌괭이, 돌도끼, 돌자귀, 돌대패날, 돌끌
음식조리: 갈돌, 갈판,
사냥도구, 무기: 간돌검, 돌화살촉
석기를 다듬는데: 숫돌
실을 꼬는데: 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