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사 1, 원시사회에서 고대사회로』, 한길사, 1994
『한국사 3,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국사편찬위원회. Ⅰ. 머리말
Ⅱ. 본문
1. 고인돌의 분포
2. 고인돌의 형식
3. 고인돌의 제작 시기
4. 고인돌 무덤의 주인
Ⅲ. 맺음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인돌은 충6호에서 동쪽으로 4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덮개돌은 석회질 셰일로 만들어 졌는데, 규모는 길이 120cm, 폭 120cm, 두께 20cm에 달한다. 무덤방은 돌널형식으로 거의 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 네 벽을 편편한 편암으로 잇대어 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인돌의 현황과 특성, 세계거석문화협회
ⅱ. 박창범 외 2명(2001), 청원 아득이 고인돌 유적에서 발굴된 별자리판 연구, 한국과학사학회
ⅲ. 유수현(2002), 고인돌문화의 활용방안, 한양여자대학
ⅳ. 하문식(2008), 고인돌의 특이 형식에 대한 연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는 고인돌을 말하는데, 개석식 고인돌에서 변형되고 바둑판 고인돌이 복합되면서 만들어진 형식으로, 불교 석탑의 기원이 되었다. 보통 윗층 덮개돌과 아랫층 덮개돌로 구분되며, 아래 덮개돌이 위 덮개돌의 한쪽 귀퉁이에 물려있어 약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인돌이 주변지역에서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 자체에서 발생된 것이라는 견해이다. 그 이유로 고인돌이 우리나라에 가장 밀집되어 있고 형식도 다양하며, 주변의 고인돌보다 시기적으로 앞선다는 것을 들고 있다. 또 독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