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옹관묘 사회의 성장에 대한 시론」,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이영문, 『고인돌 이야기, 』, 다지리, 2001
이영문, 『韓國 支石墓 社會 硏究』, 학연문화사, 2002
최성락, 『전남의 고대문화』, 학연문화사, 2003
이해준, 『다시쓰는 전라도 역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인돌 공원
나주 복암리 고분군(1~4호분)→ 백제 말기(5~6C)의 무덤임을 알 수 있다. “3호분”
· 국가사적 제 404호 지정
옹관묘(3~4C까지도 쓰임), 수혈식 석곽묘, 횡혈식 석실묘(=돌방무덤)
→ 점차 발전되는 모습이 보임. 제 5·6·7·13호 횡혈식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묘(土壙墓)=널무덤: 구멍을 파고 널에 넣은 주검을 묻는 무덤
ㆍ토광목곽묘(土壙木槨墓)=덧널무덤: 구멍을 파고 널을 넣은 덧널 시설이 이루어진 무덤
ㆍ옹관묘(甕棺墓)=독무덤: 토기를 이용하여 만든 무덤의 하나로 보통 토기를 두개 맞붙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묘(冬壽墓)와 덕흥리(德興里)무덤에서 볼 수 있는 부부초상 ·사냥 ·무용 ·행렬(行列)을 비롯한 생전의 생활 모습 등을 담은 인물풍속도 등이다.
중기(450~550년경)는, 돌방의 축조가 고구려식으로 정착되면서 앞방이 작아져 딸린 방처럼 되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인돌)
무덤: 고인돌(지석묘), 돌널무덤(석관묘), 돌무지무덤(적석총), 독무덤(옹관묘)
cf. 철기문화는 널무덤(토광묘, 청동기와 철기문화 복합), 독무덤, 돌방무덤(석실묘)
Ⅱ. 군장국가
동해안지역의 군장국가
옥저: 읍락의 장수 삼로, 민며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