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소장변경이 필요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한다.
3. 법원의 공소장변경의 의무와 관련해서는 공소장변경제도의 원래의 취지는 소추기관인 검사의 공격내용 및 방향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일정한 공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법문북스 2017
이천호 저, 이천호 형사소송법, 에듀피디 2017
최정일 저, 법학개론, 학림 2017 1. 심판의 대상
2. 공소장변경
(1) 서설
(2) 공소장변경의 한계
(3) 공소장변경의 필요성
(4) 공소장변경의 절차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7.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도(제161조의2)
- 전문법칙(제310조의2)
- 검사·피고인·변호인의 최후변론권(제302조, 제303조)
이상은 피고인의 방어적 참여권을 보장하는 제도일 뿐, 소송구조와 직접 관련 있는 것은 아님
4. 소송구조 논의의 실익/ 새로운 소송모델의 필요성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필요성 여부는 법원의 자유판단에 의하나, 이 판단은 실체적 진실의 발견, 타당한 양형, 심리의 원활한 진행, 피고인의 권리보호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행하여야 한다.
① 병합된 여러 개의 사건을 분리하여 별개의 절차에서 심리하는 것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소장의 제출
2. 공소장의 기재사항
(1) 필요적 기재사항
(2) 임의적 기재사항
ⅴ. 공소장일본주의
1.의의
2. 필요성
(1) 예단배제(예단배제)
(2) 당사자주의의 실현
(3) 공판중심주의의 실현
3. 내용
4. 위반의 효과
Ⅵ.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