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서론
Ⅱ. 본론
1. 야나기 무네요시의 공예, 그 시작
2. 야나기, 그 공예의 길
3. 야나기 무네요시가 생각한 작은 협동체, 길드
Ⅲ.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예사, 서울 : 학문사, 1989
◈ 고유섭, 우리의 미술과 공예, 설화당, 1975
◈ 남상교, 한국민속공예의 조형사적 연구, 한양대, 박사논문, 1989
◈ 이경성, 한국 현대미술사-공예편, 국립현대미술관, 1975
◈ 유종열, 공예의 길, 신구문화사, 1994
◈ 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예
아름다움의 나라를 바라는 마음
어떻게 하면 세상을 도덕적으로 올바르게 할 수 있을까?
아름다운 나라를 세우기 위해 첫째 무엇이 올바른 아름다움인지를 알아야한다. 목표가 정해진 다음에는 방법과 길을 알아야한다. 그 길의 열쇠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길진 역『工藝の道(1928)』講談社術文庫, 『공예의 길』1994 신구문화사
柳宗悅, 민병산 역『工藝文化(1941)』岩波文庫, 『공예문화』1993, 신구문화사
柳宗脫, 최재목 역『美の法門(1948)』岩波文庫, 『미의 법문』2005, 이학사
이즈미 지하루 (1994)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17.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예의 길드가 유지되고 있었다. 소속된 사람들은 제각각 마음대로 만든 것은 아니다. 정해진 법도 밑에 만들었다. 그리하여 미는 그러한 순직한 마음에의 보수였던 것이다.“
3.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야나기는 고딕예술을 깊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