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제 가 참일 때 곧, 일 때,
는 이기 위한 충분조건, 는 이기 위한 필요조건
(ⅱ) 명제 , 가 모두 참일 때 곧, 일 때,
는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는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또는 서로 동치)라 한다.
필요 충분 필요충분조건과 집합의 포함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2.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 {3})
(iii) 일 때
A={1, 2}, {1, 3}, {2, 3}, B={1, 2}, {1, 3}, {2, 3}
∴ (A, B)=({1, 2}, (1, 2}), ({1, 2}, {1, 3}), …, ({2, 3}, {2, 3})
(iii) 일 때
A=B={1, 2, 3}
∴ (A, B)=({1, 2, 3}, {1, 2, 3})
따라서 1+9+9+1=20 (쌍)
공통수학
Ⅰ 집합과 명제
68. Ans) 5
Sol)
을 수직선에 나타내 보면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제의 해석과 복합 문장의 구조의 발견이 필요하다. 따라서, 수학적 공리란 무엇인가?
● 공리(axiom)란 무엇인가?
● 공리의 요소
● 공리에 대한 입장
● 공리의 요건
● 공리의 근거
● 집합과 공리의 방법
● 공리론적 수학의 발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6.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