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조물에 사용*내진주(內陳柱)(안기둥: 고주,단주,실심주):고주는 대부부의 구조물에 사용되며 중층건축물 에 사용되는 단주와 다층건축물과 목조탑파형식에 사용되는 실심주가 있음
*동자주(童子柱)(활주) : 추녀부분의 처짐을 방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의 및 의의
2. 사찰의 의의
3. 전통적인 사찰의 특징
1) 주심포식 양식
2) 다포식 양식
4. 부석사
5. 부석사의 조경 양식
1)무량수전
2)응진전
3)범종루
4)범종각
6. 답사 다녀온 후기 및 사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분한다.
6. 민도리계 형식의 사례 1. 공포란 무엇인가
다포계 형식
2. 다포계 형식의 발생
3. 다포계 형식의 특징
4. 다포계 형식의 사례
민도리계 형식
5. 민도리계 형식의 발생
6. 민도리계 형식의 특징
7. 민도리계 형식의 사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3.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포식 가구의 양식적 특성과 뛰어난 건축기술을 보여주고 있어서 목조건축의 양식 발전을 연구하는데 크게 주목되는 것이다.
건물의 세부를 살펴보면 정면, 측면, 세 칸씩의 평면에 다포식 공포를 짜고 맞배지붕을 올린 점은 큰 규모의 불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포식, 민도리집 양식으로 나눌 수 있다. 주심포 양식은 대체로 공포를 주두 위에서만 짜는 목구조형식 중에서 익공을 제외한 형식을 말한다.
우리나라 주심포계 양식은 고구려에서부터 삼국에 걸쳐 사용하였는데 이는 고식의 주심포 형식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