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공업과 상업에 종사하였기 때문에 농사를 짓는 백성이 줄어들었으며, 말작(末作 : 상업)이 발달하고 본실(本實 : 농업)이 피폐하였다. 이것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
재정 확충과 민생 안정을 목표
농업 권장, 양전 사업, 농서 간행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6.0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공업제품,해산물 등
✔ 결수와 호구수가 참작되었지만 불분명한기준,
지방관과 향리를 통한 수취과정의 문제를 안고 있다.
진상(進上)
✔ 국왕과 궁중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을 예헌(禮獻)
군현단위로 배정되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8.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공업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였다. 그러나 모든 관원이 다 녹봉을 받는 것은 아니었다. 관원 중에는 겸직의 직이 많고, 또 녹이 없는 무록관이 있었다. 또, 체아직에는 체아록이 지급되었다. 녹봉은 18과로 나뉘어 있었는데, 제 1과는 대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공업
- 시장판매를 위한 수공업제품 생산
- 관영수공업체제 붕괴, 18세기 말 장인등록제 폐지
- 도시인구 증가, 수요증가, 대동법 실시, 관수품 증가
- 상품화폐 경제의 발달
44. 조선의 수공업
▷15세기 - 관영수공업 중심, 관청에 등록, 관장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수품은 무기 ·화약 ·활자 ·의복 ·문방구 ·그릇 등이 중요하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관장 중심의 관영수공업이 점차 쇠퇴하고, 국가에 장인세를 바치는 납포장, 즉 사장의 활동이 활발하였는데, 종이 ·화폐 ·유기 ·자기 등의 제조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