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용어 사전, 교보문고
▷ 권동순(2003), 아첨도 능력이다, 속담으로 엿보는 일본인 의식구조
▷ 권영을(1997), 관형관계 합성명사와 병렬관계 합성명사의 의미해석
▷ 문금현(1999),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국어학회
▷ 박영준·최경봉(1996), 관용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감정의 분류와 감정어 표현 관용어
인간의 기본 감정은 크게 여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기쁨(기쁘다) : 마음에 즐거운 느낌이 나다.
① 기쁨은 생명력이다
심금을/가슴을 울리다, 가슴이 찡하다, 눈시울이 맵다, 가슴을 적시다, 어깨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리로 나앉다
ㅁ. 덫을 놓다/ 미끼를 던지다
ㅂ. 국수를 먹다/ 마당을 빌리다 : 화촉을 밝히다
위의 경우 관용어의 표면 형식(단어의 명칭)은 다르면서 관용 의미는(단어의 의미)비슷하므로 이 경우가 관용어간에 발견되는 순수한 유의관계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용어는 주로 부분적인 현상으로 전체적인 현상을 대신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국은 옛날에 결혼식 피로연에서 흔히 국수를 대접하는 풍습이 있어서 관용어 ‘국수를 먹다’는 결혼할 때 부분적 행위로 결혼하다는 전체를 대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7.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용어의 특징
위의 많은 예들에서 보듯 감정표현 관용어 표현의 특징은 신체어와 관련된 표현이 많다는 점이다. 특히 기쁨표현 관용어는 ‘가슴’을 매개로 한 관용어가 많은데, 이것은 한국인에게 있어 ‘가슴’이 기쁨을 감지하는 대표적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