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통사4』, 지식산업사, (1994) p.10~23
5. 맺음말
이상 구비문학에 드러난 민중의 역량을 민요, 설화, 가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것이 형식적으로 또는 내용적으로 세련미를 갖추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치열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참모습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적 연구의 시각이 기록문학보다도 더욱 긴요하다고 본다.
Ⅶ. 구비문학의 가치
구비문학은 전승자들 스스로 지어내고 배우고 익히며 즐기는, 생활 속에 살아있는 역동적 문학이자 저마다 스스로 주인됨을 누리는 민중 주체의 문학이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비문학과 민속학 :공유와 분기, 제휴의 문제, 한국구비문학회 Ⅰ. 서론
Ⅱ. 구비문학의 의미
Ⅲ. 구비문학의 특징
1. 말로 된 문학
2. 구연되는 문학
3. 공동작의 문학
4. 단순하며 보편적인 문학
5. 민중적·민족적 문학
Ⅳ. 구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을 전공하지 않는 일반인들 가운데 한 사람을 붙잡고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옛날이야기는 무엇일까요?” 하고 묻는다면 아마도 ‘호랑이 이야기’, ‘선녀와 나무꾼’ 또는 ‘흥부와 놀부’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설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개론』, 새문사, 2003.
- 이헌홍, 「판소리론」, 김승찬 외, 『한국 구비문학론』, 새문사, 2003.
- 곽정식,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신지서원, 2005.
- 정병헌, 『판소리와 한국 문화』, 역락, 2002. 1. 판소리의 정의
2. 판소리의 명칭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