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어연구회(후에 조선어학회로 개칭됨)를 설립했다. 그의 초기 표기법 이론인 본음이론은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공표하여 시행하게 된 '한글맞춤법통일안'의 밑거름이 되었다. 그의 이론은 상당히 독창적인 것이었는데, 특히 〈말의 소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시경 선생 연보
2. 주시경 선생 전기
3. 주선생님의 일화와 생활
4. 주시경 출생과 성장 / 사회활동/ 저서/ 연구 업적
5. 한글학회 해적이 간략 연보 - 한흰샘 주시경
6. 주시경의 한나라말
7. 7월의 독립운동가 주시경 선생
8. 한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8.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문졍리(국문정리)에서 된소리를 쌍서로 썼고, 주시경의 국어문전음학(1908)에서 ‘쌍자음’ 병서의 옳음을 말하였고(52-53면), 국문연구소의 국문연구의정안(1909)에서 ‘동자 병서’를 채택하였는데, Scott는 이들보다 앞서 이를 실행에 옮긴
한글 국어, 우리글 우리말, , 국어, 우리말)의 음성문자체계, 주시경, 한글전용, 한글코드, 한글(우리글, 국어, 우리말)의 연구 사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문정리》의 가치성을 높이 평가하고 싶은 것이다.
'소홀히 다루어진' 국어 학자에 대해 조사하려고 보니 그만큼 자료가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주시경, 최현배 등과 같이 너무나도 유명한 국어 학자 말고도 그늘에 가려져 있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시경을 비롯하여 지석영 등의 몇몇 위원들로 구성된 국문연구소(1907~9)는 <국문연구의정안 國文硏究議政案>을 내놓게 되었는 바, 이는 국문동식법과 마찬가지로 국문 즉 한글만을 대상으로 한 한글맞춤법의 성격을 지녔던 것이다.
III.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0.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