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조로울 수 있는 판을 활기차고 들뜬 분위기로 만들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금은 대취타, 정대업, 시나위, 농악 등에 사용된다. 편종(編鐘)
방향(方響)
징과 대금(大金)
편경(編磬)
특경(特磬)
금(琴)
장고(杖鼓0
태평소(太平簫)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악기전시회(국악신문,96,11,27)
국적만 바꾼 [국악기 개량](경향신문,95,6,3)
북한식 개량가야금(음악교육신문,96,12,4)
북한의 21현가야금 구조(월간음악,91,1월호)
상식을 벗어난 개량국악기(음악교육신문,97,1,8)
새납 북한개량악기(음악저널,91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04.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향으로 빠르게 긁어 친다.
읏, 은 박자를 맞추기 위한 구음으로 치지 않는다.
‘읏’에는 꽹과리를 막고, ‘은’에는 엷는다.
다른 악기에도 사용하는 구음장단이다.
참고문헌
* 국립국악원(1998), 국악기는 내 친구, 서울 : (주)삼화인쇄
* 국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향성을 놓고 고민을 털어놨다. 14일 서울 서초동 국악박물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김 원장은 \"요즘 인기를 얻고 있는 퓨전 국악 작품들을 보면 선율이나 리듬이 거의 서양식 대중음악에 가까운 곡들이 많은데, 엄밀히 말해 국악이라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다양한 사례
1. 열 여섯 개의 종으로 된 “편종”
2. 열 여섯 개의 돌로 된 “편경”
3. 한 개의 큰 종으로 된 “특종”
4. 한 개의 큰돌로 된 “특경”
5. 쇠붙이 열여섯 개로 된 “방향”
6. 국악의 지휘자 “박”
7.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