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관형사의 개념과 특징
2. 관형사의 종류
2. 1. 성상 관형사(性狀冠形詞)
2. 2. 지시 관형사(指示冠形詞)
<표 1> ‘이런, 그런, 저런’의 품사 통용 양상
2. 3. 수 관형사(數冠形詞)
<표 2> 수관형사의 ‘서, 석’과 ‘너, 넉’, ‘닷’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류
2. 1. 과거 시제
2. 1. 1. 종결형에서의 과거 시제 표현
2. 1. 1. 1. ‘-았-/-었-/-였-’, ‘-았었-/-었었-’
2. 1. 1. 2. 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 ‘-더-’
2. 1. 2. 관형사형에서의 과거 시제 표현
2. 1. 2. 1. 관형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2.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연구원
노대규(1997) “한국어의 감탄문”, 국학자료원
김기혁(1995) "국어문법연구" 박이정출판사
김기덕외(2003) "한국어 문법론" 한국문화사
임유종(1999) "한국어 부사연구" 한국문화사 1. 부사의 개념, 종류, 특성
2. 관형사의 개념, 종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명하라
26. 관형사의 특성을 설명하라
27. 양태부사와 그 호응에 대해 설명하라
28. 단어수식부사와 문장수식부사의 차이를 설명하라
29. 국어에서 접속사의 설정이 필요한가?
30. 보조용언과 동사구보문의 상관성을 설명하라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9.08.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자는 회상 처리.
⑥안동환(1980,1981):국어는 과거와 비과거의 두 종류의 시제구분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었’의 있고 없음에 따라 결정된다고 봄. 관형절의 시제를 부인하는 남기심의 견해를 비판하고 시제를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