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다, 새로’에서는 어근으로 쓰이기에 관형사로 처리한다. 15세기 국어의 ‘새’는 “헌옷도 새 리니 <월석 8:100>”에서처럼 ‘새 것’이라는 뜻의 명사로도 쓰인다.
2. 2. 지시 관형사
지시 관형사는 뒤에 오는 체언을 수식하면서, 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5세기 국어의 조어법
2. 1. 접두 파생법
2. 2. 접미 파생법
2. 2. 1. 명사 파생법 2. 2. 2. 동사 파생법 2. 2. 3. 형용사 파생법
2. 2. 4. 부사 파생법 2. 2. 5. 관형사 파생법 2. 2. 6. 조사 파생법
Ⅲ. 합성법
3. 1. 합성 명사
3. 2. 반복합성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5세기 국어의 선어말 어미
‘-오-/-우-’의 기능
Ⅰ. 들어가기
15세기 국어의 선어말 어미 ‘-오-/-우-’의 문법적 기능에 대해서는 이견이 분분하다. 이 선어말 어미는 종결형과 연결형, 관형사형에서 실현되는데, 세 활용형에 나타나는 ‘-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결 어미
2. 2. 1. 4. 청유형 종결 어미 2. 2. 1. 5. 감탄형 종결 어미
2. 3. 연결 어미
2. 3. 1 대등적 연결 어미 2. 3. 2. 종속적 연결 어미 2.
3. 3. 보조적 연결 어미2.
3. 4. 전성 어미 2. 3. 4. 1. 명사형 전성 어미 2. 3. 4. 2. 관형사형 전성 어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형사와 통용하는 부사
2. 4. 4. 감탄사와 통용하는 부사
2. 4. 5. 조사와 통용하는 부사
Ⅲ. 남기심‧고영근, 허웅, 고영근․구본관 등의 부사 형성 방식
3. 1. 남기심‧고영근의 부사 형성 방식
<표 3> 남기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00원
- 등록일 2011.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