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세기 국어의 종결 표현
Ⅰ. 종결 표현의 정의와 종류
종결 표현이란 말하는 이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문장의 서술어를 통해서 표현 방식이다. 이러한 국어의 종결 표현을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종결 어미 또는 맺음씨끝이라고 한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5세기 국어의 어미의 유형과 특성
Ⅰ. 들어가기
용언은 문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실질 형태소인 어간에 형식 형태소인 다양한 어미가 결합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활용이라고 한다. 어미는 그것이 나타나는 자리에 따라서 어말 어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5세기 국어의 선어말 어미
‘-오-/-우-’의 기능
Ⅰ. 들어가기
15세기 국어의 선어말 어미 ‘-오-/-우-’의 문법적 기능에 대해서는 이견이 분분하다. 이 선어말 어미는 종결형과 연결형, 관형사형에서 실현되는데, 세 활용형에 나타나는 ‘-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 ‘-기’는 15세기 국어에서 그 쓰임이 제한적이었다. ‘-기’는 다른 선어말 어미를 앞세우지 않고, 어간에 바로 결합한다. 이러한 점 때문에 허웅(1975:637)에서는 ‘-기’를 파생 접사와 유사하다고 말한다.
(2) ㄱ. 부텨 供養기 外예 <석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
2. 2. 2. 객체 높임법의 실현 양상
2. 2. 3. 특수 어휘에 의한 객체 높임
2. 2. 4. 객체 높임법에 대한 다른 견해
3. 맺음말
<그림 1> 허웅의 15세기 국어 높임법 체계
<그림 2> 고영근의 15세기 국어의 존비법과 공대법
<표 1> 객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