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언에서는 중세국어의 잔재형인 의문법 어미 ‘-ㄹ다’가 현재도 쓰이고 있다.
3) 어휘
특이한 어휘로는 ‘호부래비(홀아비), 따뱅이/따바리(또아리), 고방(광), 뿌지레기/뿌시레기(보스러기), 끄지름/끄시름(그을음), 아베/아바이(아버지), 할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권으로 나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 단양방언권과 영동방언권의 어형이 일치하는 예가 많다.
=>남부방언, 특히 경상방언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참고 문헌
이상규 ,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4
이상규 , 『국어방언학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 김공칠(1988)은 방언을 구획하는 경우에 ‘음운, 어휘, 문법’을 포함하는 언어적인 것과 방언의식이 고려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고 국어를 일곱 개의 방언으로 나누었다.
ㄱ. 부문별 특성에 의한 구획
a. 낱말적 기준
북부방언 - 평안남북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18.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권으로 나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 단양방언권과 영동방언권의 어형이 일치하는 예가 많다.
=>남부방언, 특히 경상방언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참고 문헌
이상규 ,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4
이상규 , 『국어방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서 사용되는 표준어 선어말어미로는 존대표시의 \'-으시\'와 시제표시의 \'-았-\'과 추측표시의 \'-겠-\'이 있다. 이들 어미 중 존대표시어미는 표준어와 동일하게 사용되며 나머지 선어말어미는 차이를 가진다. 이 지역에서 시제표시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