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 국어 표기법
3.2.1.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
(1) 조선총독부의 주체로 <국문연구 의정안>의 연구 성과를 배제하고 독자적 작업
(2) ㆍ 의 폐기(예; >는, >를), 된소리 표기 시 합용병서 된시옷 채택(각자병서로 정한 의정서의 내용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대사전(1991), 금성출판사 => 약호 <금성>
국어대사전(1995), 민중서림 => 약호 <민중>
2. 고영근 편(1989), 북한의 말과 글, 북한의 인식 7, 을유문화사
3. 김봉모(1993), 국어정서법,세종출판사
4. 김성환(1986), 띄어쓰기 원칙과 실제, 논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음성기호를 문자로 쓰는 사회적으로 합의된 규범적이고 정통적인 방식
현대 국어의 범위
- 교재의 범위 설정에 따라 1900년대 이후로 설정함 역사적 전개
<한글 맞춤법>(1988)에 근거한 정서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결론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7.07.0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오용의 언중들에게 전달될 때, 그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가사의 표기는 올바르게 되어 있으나 그 노래를 부르는 이의 발음이 틀려 오용한 경우
(2) 작사가가 가사를 창작할 때 맞춤법에 어긋난 표현을 사용
(3)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정서법의 이해 리포트
Ⅰ. 국어 종성 표기의 변천사 정리 (중세-근대-현대)
국어 종성의 표기역사는 넓게 잡으면 한자에 의한 문자생활이 시작된 때로 보아야 하겠지만, 진정한 의미의 국어 종성의 표기법 역사는 훈민정음 창제 때부터 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6.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