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언이다. 형태소 안에서나 경계에서 평안도 방언은 함경도 육진 방언과 함께 현대도 구개음화를 잘 모르는 방언이기 때문이다.
서북방언은 아예 반모음 ‘j\'가 없는 ’당개(장가), 뎡거 1.대치
2.탈락
3.축약
4.이동
5.첨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없다.
그리고, 소나무가 다시 요즈음 \'솔나무\'로 통용되는 것과 \'알+으로 -- 아오, 알+읍니다--압니다, 알+으시고 -- 아시고\' 등에서 \'알+으\'의 결합에서의 탈락은 어떻게 된 것이고 현대 국어에서 \'ㄹ\'은 오히려 유지되는 경향(/알으시고/ 알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5.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개음화(口蓋音化)
2. 어두 ‘ㄴ’의 탈락
3. 어두 자음군(語頭 子音群)의 된소리화
4. 문자 ‘ , ’의 소멸
5. ‘ㅎ’의 된소리
6. ‘ㅇ’
7. 평음의 된소리화 및 유기음화
8. 양순음 ‘ㅍ’ 앞에서 ‘ㄹ’의 탈락
<참고 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구개음화(口蓋音化)
2. 어두 ‘ㄴ’의 탈락
3. 어두 자음군(語頭 子音群)의 된소리화
4. 문자 ‘ , ’의 소멸
5. ‘ㅎ’의 된소리
6. ‘ㅇ’
7. 평음의 된소리화 및 유기음화
8. 양순음 ‘ㅍ’ 앞에서 ‘ㄹ’의 탈락
<참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음운론 개설》, 신구문화사, 1995
ㄴ 첨가 현상의 개념
ㄴ 첨가는 합성어와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말음이 자음이고 뒤에 오는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i]나 [ya, y, yo, yu]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n’을 삽입하여 ‘nyi, nya, ny, nyo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