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무부(Canadian Government, 1986)
8. 올뤼치(Oelrich, 1990)
Ⅲ. 제네바의 군축위원회(군비축소위원회)
Ⅳ. 국제연합(UN)의 군축위원회(군비축소위원회)
Ⅴ. 한국의 군축협상(군비축소협상)
Ⅵ. 유럽의 군축협상(군비축소협상)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비축소] 1946년 국제연합 원자력위원회를 발족시켜 원자폭탄을 비롯한 대량 살상무기와 군비 및 무장병력 제한에 합의하고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1952년 원자력위원회와 일반군축위원회가 군비축소위원회로 합치되었고, 원자력을 평화적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축위원회 [國際聯合軍縮委員會, Untied Nations Disarmament Commission]
핵확산금지를 포함한 군비축소에 관한 다자간협상기구로서 1978년에 국제연합총회 산하에 설치되었다. 국제연합총회는 핵무기의 생산, 발사제도의 개량 등의 중단을 촉구하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축을 추진해야 하는 상황이 도래하더라도 자신 있게 이에 응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환(1991), 한반도 군축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로날드 레이만(1992), 한반도에서의 군비통제 및 군비축소, 북한연구소
박종철(2011), 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축문제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북한연구소, 2006 Ⅰ. 서론
Ⅱ. 한반도군비축소(한반도군축)의 의의
Ⅲ. 한반도군비축소(한반도군축)의 목적
Ⅳ. 한반도군비축소(한반도군축)의 계획
1. 전차 전력 비교
2. 장갑차 전력
3. 야포 전력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