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체협약법), 한국에서는 단체협약이 곧 근로관계의 근거규범이 되므로 공통된 적정근로기준인 점에서 부정된다고 보아야 하고, 따라서 유리성의 원칙이 부정된다. 이는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에도 마친가지이다. 문제는 소위 내용설을 취하
|
- 페이지 5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3.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체교섭의 근로자측 주체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서울대학 교 법학박사학위논문, 1992.
―――, 「한국노동법의 발전」, 『주요국 노동관계법의 신조류에 대한 국제세미나』, 한국노동연구원, 1995.
장선희, 「단체협약의 규범적 효력에 관
|
- 페이지 9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2.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Ⅴ. 규범적 부분의 위반의 효과
사용자가 단체협약의 규범적 부분을 위반하는 경우에 개별조합원은 사용자를 상대방으로 직접 그 이행을 청구할 수 있으며 또한 소구(訴求)할 수 있다.
노동조합은 개별조합원에 갈음하여 협약 상 의무이행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규범으로 합의도출하고 제도화시켜 나갈 것인가?
참고문헌
○ 김재훈(1993), 단체협약에 의한 기존 근로조건의 불이익변경, 노동법연구 제3호, 서울대노동법연구회
○ 김정기·박동숙 외(1999), 매스미디어와 수용자, 커뮤니케이션 북스
○ 김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체교섭의 근로자측 주체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서울대학 교 법학박사학위논문, 1992.
, 「한국노동법의 발전」, 『주요국 노동관계법의 신조류에 대한 국제세미나』, 한국노동연구원, 1995.
장선희, 「단체협약의 규범적 효력에 관한 연구
|
- 페이지 76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