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노래원문과 한시로의 번역
Ⅱ. 어역대비
1. 彼仍反隱
2. 法界惡之叱佛會阿希
3. 吾焉頓叱進良只
4. 法雨乙乞白乎叱等耶
5. 無明土深以埋多
6. 煩惱熱留煎將來出米
7. 善芽毛冬長乙隱
8. 衆生叱田乙潤只沙音也
9. 後言 菩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균여전의 향가연구)」,조평환 , 건국대학교, 1984
- 「삼국유사 소재 향가 연구: 기이편과 감통편을 중심으로」나정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1992
- 「鄕歌의 장르的 性格考」, 전규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76
※참고사이트
http:/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8.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균여전」의 문학사적 의의
「균여전」은 ‘승전’양식 형성의 기틀을 마련해 주었으며, 기록 문학과 구비문학이 교섭하여 열린문학 양식을 갖게 하였다. 또한, 후대 佛敎小說, 傳記小說, 傳奇小說의 발전에 기틀이 되는 문학사적 의의를 갖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균여전에 나오는 용어들과 그 용어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과 현존하는 향가 26수에 그 성격을 적용하여 보았다. 현존하는 향가의 수가 너무 적어 연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교수님 말씀이 있어서 그랬는지 몰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고려향가와 『균여전』 1
Ⅱ. 「보현십원가」 2
1. 예경제불가 3
2. 칭찬여래가 4
3. 광수공덕가 6
4. 참회업장가 7
5. 수희공덕가 8
6. 청전법륜가 9
7. 청불주세가 11
8. 상수학불가 12
9. 항순중생가 13
10. 보개회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3.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