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소득에 근로소득공제(Earned Income Disregards) 또는 EITC를 적용
빈곤계층의 근로활동을 유인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SSI(Supplemental Security Income)와 Food Stamps에 대해 각각 50%와 30%의 근로소득공제를 적용하고 있으며, TANF의 경우 수급자의 근로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소득 인정 기준
과세 근로소득(Taxable earned income)과 비과세 근로소득(Non-taxable earned income)의 합계이다. 연금급여, 실업급여 및 TANF 등 공공부조 급여는 근로소득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총소득에서 무조건 $225를 제외하고 나머지 세금납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갖는다. 둘째 미국의 TANF가 수급기간을 총 5년으로 제한하면서 복지수혜자의 취업우선을 강조하고 있지만 한국의 자활사업 참여자는 수급기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자활사업의 대상 집단은 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 중에서 근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연계 복지정책에 대한 미국, 한국, 유럽 비교
강제성 측면
미국의 TANF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자활사업
≥
유럽국가
서비스 제공 측면
취업우선주의
미국
〈
〈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펴온 유럽
⇒ 뢰드멜이 제시한 ‘더 적게/더 많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연계복지정책 추진체계의 변화
2). 영국 근로연계복지정책 추진체계의 특성
3). 평가
2.미국의 근로연계복지(welfare to work)
1). 미국 근로연계복지의 이념과 목적
2). 미국의 대표적 근로연계복지제도: TANF
3). 리버사이드 모델과 위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9.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