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강경의 사구게가 가장 유명하다.
3. 소명태자
소통 [蕭統, 501~531] 중국 남조(南朝) 양(梁)나라의 문학평론가. 별칭 자 덕시, 시호 소명
소명태자(昭明太子)라고도 하며 자는 덕시(德施), 시호는 소명(昭明)이다. 양(梁) 무제 소연(蕭衍)의 장남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강경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
ㆍ나종내 : 내내, 끝끝내. 고어 표기는 ‘나죵내’임.
ㆍ백호 : 부처의 이마에 있는 털로, 빛을 발하여 무량(無量)의 국토를 비친다 함.
ㆍp.214 (1~2째 줄) ‘금강경(金剛經)’ 의 한 구절. 모든 유위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강경의 유명한 문구는 바로 이러한 사태를 표현하고 있다: “과거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다.(過去心不可得, 現在心不可得, 未來心不可得)(금강반야바라밀경, 제18(一體同觀分))
cf.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8만 2755명
문화재 : 금강반야바라밀경(보물 974), 성시헌익사공신록(서울유형문화재 85), 열조통기(서울유형문화재 86), 양정편(서울유형문화재 128), 초고장(서울무형문화재 16), 체메우기(서울무형문화재 19)
지명유래 : 양천 옛지명은 제차파의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5.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강반야바라밀경]으로 1908년 영국의 스타인경이 중국 돈황 석실에서 발견하여 대영 박물관으로 가져간 것이다.
일본의 [백만탑 다라니경]은 서기 770년에 새긴 것으로 다라니경보다 적어도20년 이상 후의 것이고, 중국의 [금강반야바라밀경]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