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闔飯蓋)
15. 사신례(辭神禮) : 분축(焚祝), 철찬(撤饌), 음복(飮福)
16. 파제(罷祭)
Ⅱ. 축문(祝文)
1. 기제축(忌祭祝) 예문
2. 해설
Ⅲ. 신위(神位)
Ⅳ. 지방(紙榜)
Ⅴ. 지방(紙榜)의 내용과 작성법
1. 남자조상
2. 여자조상
참고문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제사의 절차① 준비㉮ 하루 전 목욕 재계(齋戒)하고, 정침을 깨끗이 닦음㉯ 제사상을 놓고 신위를 모심, 향안, 향로, 향합, 축판, 제주와 퇴주 그릇 등을 준비㉰ 진설(陳設) : 제사에 쓸 여러 가지 음식을 제사상 위에 질서 있게 차림㉱ 강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제사와 대동 소이하다.
①날 잡기(擇日) ②재계(齋戒) ③제수의 준비(具饌)와 제상 차리기(陳設) ④청소와 자리 깔기 ⑤음식 차리기(陳饌) ⑥합동 참배(參神) ⑦신 내리기(降神) ⑧첫잔 드리기(初獻)와 축문 읽기(讀祝) ⑨버금 잔 드리기(亞獻)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준비
3) 제사순서
Ⅳ.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제수진설
1. 제수 진설의 일반 원칙
2. 제수(祭需)
Ⅴ.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지내는 순서
Ⅵ.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지방과 축문
1. 지방 만드는 법
2. 축문 쓰는 법
1) 전통식 축문 쓰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제사의 비교
차례(茶禮)때는 기제사(忌祭祀)를 받드는 모든 조상(祖上)에게 지낸다. 차례(茶禮)는 설날 또는 한가위(秋夕)날에는 집에서 지내고 한식(寒食)날에는 성묘(省墓)를 겸(兼)하여 묘지(墓地)에서 지내기도 한다. 차례(茶禮)에는 반갱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