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59건

축문(기제사축문)의 해설 Ⅳ. 기제축문(기제사축문)의 서식 1. 출주고사(出主告辭) 2. 금이(今以) Ⅴ. 기제축문(기제사축문)의 사례1 Ⅵ. 기제축문(기제사축문)의 사례2 Ⅶ. 기제축문(기제사축문)의 사례3 Ⅷ. 기제지방(기제사지방)의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지방, 중간에 본비의 지방,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씁니다. (5) 지방을 꾸미느라고 상단 모서리를 약간 오려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조상의 안면 상부를 난도질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절대 금해야 합니다. 또한 지방을 붙이면 축문을 읽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지방, 점촉(修祝, 紙榜, 点燭)〔이서위상, 천원지방 (以西爲上, 天圓地方)〕 축문과 지방을 써놓고 촛불을 켠다, 〔이서위상. 천원지방〕이라함은, 서쪽을 위로 삼으며, 지방의 위쪽은 하늘처럼 둥글게 아래쪽은 땅처럼 모나게 하고, 제사나 모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지방을 모실 때, 주의할 점은 현과 신위의 위치가 두 분이 같은 위치에 오도록 나란히 쓸 것. 2. 축문(祝文) 제사일을 하루로 하여 두 분의 위를 함께 모실 때 - 년간이란, 갑자 을축 등의 간지. - 일간이란, 일력(매일 떼어내는 달력)에 기록된 그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지방과 축문을 촛불로 태운다. 이때 제관이란 제사에 참여하는 사람을 말한다. ⑪ 제상에 차렸던 음식을 거두고 술을 한잔씩 마신다. 이것을 음복이라 한다. 음복이란 조상이 내려 주신 복된 음식이란 뜻으로 제사를 끝내면 제관들은 물론이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