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기제사지방)의 사례1
顯
祖
考
承
政
院
都
承
旨
附
君
神
位
顯
祖
淑
夫
人
密
陽
朴
氏
神
位
顯
考
處
士
⌒
學
生
附
君
神
位
顯
孺
人
慶
州
金
氏
神
位
顯
考
處
士
⌒
學
生
附
君
神
位
顯
孺
人
靑
松
沈
氏
神
位
顯
孺
人
仁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사예절)와 제수 진설
제수의 전설은 각 지방의 관습이나 풍속, 그리고 가문의 전통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그래서 가가례(家家禮)라고도 하며 ‘남의 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하고 참견 말라’는 풍자적인 말까지 나오게 된 것이다. 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사가 모두 끝나면 제관은 모두 방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제일 웃어른이 지방과 축문을 촛불로 태운다. 이때 제관이란 제사에 참여하는 사람을 말한다.
⑪ 제상에 차렸던 음식을 거두고 술을 한잔씩 마신다. 이것을 음복이라 한다. 음복이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사 전날 아침 일찍부터 집의 안팎을 깨끗이 쓸며 닦고, 안에서는 제찬(祭饌)을 작만하고 밖에서는 제구(祭具)를 갖추고 당안을 청결히 청소하고 제주이하 여러 자손들이 각기 목욕하고 제복을 입고 축문과 지방을 써놓고 당에 들어가 자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방을 모실 때, 주의할 점은 현과 신위의 위치가 두 분이 같은 위치에 오도록 나란히 쓸 것.
2. 축문(祝文)
제사일을 하루로 하여 두 분의 위를 함께 모실 때
- 년간이란, 갑자 을축 등의 간지.
- 일간이란, 일력(매일 떼어내는 달력)에 기록된 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