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24건

지방(기제사지방)의 사례1 顯 祖 考 承 政 院 都 承 旨 附 君 神 位 顯 祖 淑 夫 人 密 陽 朴 氏 神 位 顯 考 處 士 ⌒ 學 生 附 君 神 位 顯 孺 人 慶 州 金 氏 神 位 顯 考 處 士 ⌒ 學 生 附 君 神 位 顯 孺 人 靑 松 沈 氏 神 位 顯 孺 人 仁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Ⅰ.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1. 수축, 지방, 점촉(修祝, 紙榜, 点燭)〔이서위상, 천원지방 (以西爲上, 天圓地方)〕 2. 설위(設位) 3. 진설(陳設) 4. 강신례(降神禮) 5. 참신례(參神禮) : ?일동재배(一同再拜)? 6. 초헌례(初獻禮) : 좨주(祭酒)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지방소각(紙榜消却) 10.철찬(撤饌) 11 음복(飮福). Ⅴ. 차례와 기제사의 비교 차례(茶禮)때는 기제사(忌祭祀)를 받드는 모든 조상(祖上)에게 지낸다. 차례(茶禮)는 설날 또는 한가위(秋夕)날에는 집에서 지내고 한식(寒食)날에는 성묘(省墓)를 겸(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지방과 축문 1. 지방 만드는 법 고안의 사진으로 대신하거나 현대식의 지방을 써 붙인다. 지방은 너비 6cm, 길이 22cm 정도의 한지나 백지위에 먹으로 씁니다. 2. 축문 쓰는 법 기제사를 지낼 때에는 축문을 써서 읽습니다. 설날과 추석 차례에는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16. 음복(飮福) 음복이란 조상께서 주신 복된 음식이라는 뜻으로 제사가 끝나면 참사자와 가족들이 모여서 시식을 한다. 또한 친족과 이웃에도 나누어 주고 이웃 어른을 모셔다 대접하가도 한다. 기제사 차리는 법 기제사의 순서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0.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