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산새가 우는 이유
산에는 오는 눈, 들에는 녹는 눈.
산새도 오리나무
위에서 운다.
삼수갑산 가는 길은 고개의 길.
고개의 길 : 산새가 넘어가지 못함 임에 대한 그리움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소월,「김소월 시집」, 범우사, 1984.
김영철,「김소월」,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송희복,「김소월 연구」, 태학사, 1994.
양혜경,「한국 현대시인론」, 새문사, 2003.
오세영외,「한국 현대시인론Ⅰ」, 새미, 2003.
황규수,「한국 현대시의 공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다.
옛날, 우리나라
: 민담의 소재
먼뒤의
진두강가람에 살든누나는
이붓어미 ꊱ 머리말
ꊲ 본론 1 - 김소월의 생애와 <산유화>, <접동새> 작품 분석
ꊳ 본론 2 - <산유화>, <접동새>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ꊴ 맺음말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소월”, 『한국현대시인연구』권5, 문학세계사, 1993.
김영철, 『김소월』,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김은전, 『한국 현대시 탐구』, 태학사, 1996.
성기조, 『한국현대 시인론』, 한국문화사, 1997.
김용직, 『한국현대시인연구』, 서울대학교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사뿐히\'와 연관되는 뜻을 역시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① 사뿐하다 - 심신이 가뿐하고 시원하다
② 사뿐 - 발소리가 나지 1. 들어가기
2. 김소월 시인, 그의 생애
3. 대표시 <진달래꽃> 분석
4. 마무리
■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8.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