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장
1) 김수장의 생애
2) 작품세계
(1) 가금자적(歌琴自適)생활을 추구하는 시조
(2) 수분절제(守分節制) 생활을 추구한 시조
(3) 남녀성정(男女性情)을 노래한 시조
3) 김수장 시조의 특징
3. 운애(雲崖) 박효관과 주옹(周翁) 안민영
1) 생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수장
(1) 김수장 생애
(2) 김수장 작품감상
(3) 김수장 시조의 특징
3) 운애 박효관
(1) 박효관 생애
(2) 박효관 작품 감상
(3) 박효관 시조의 특징
4) 주옹 안민영
(1) 안민영 생애
(2) 안민영 작품감상 <매화사>
(3) 안민영 시조의 특징
Ⅲ.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수장과 후배가객들이 많은 사설시조를 남기고 있다는 점과 대비된다.
셋째, 고유한 문화유산인 고시조 작품을 모아, 이를 가집으로 편찬하는데 결정적인 자리를 만들었다. 이것은 「해동가요」이본 중에서 을해본을 제외한 나머지 가집들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수장의 「해동가요(海東歌謠)」, 1876년(고종 13)에 박효관과 안민영의 「가곡원류(歌曲源流)」, 그 밖에 「고금가곡」,「근화악부 」,「병와가곡집」 ,「화원악보」, 「동가선」, 「남훈태평가」 등의 시조집들이 쏟아져 나왔음은 시조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 평민가단
(2) 노가재가단
* 형성배경
: 김수장이 만년에 서울 화개동에 자신의
호를 딴 노가재라는 집을 짓고 제자 육성
* 구성원
: 문벌·지위 낮아 사회적 대우를 받지 못
한 인물들로, 신분 연령에 구애 받지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