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를 찾아 주든지
살려 주든지 해야겠네.
산바지 : 그럼 아들 나오라 하지. 여보게 박첨지 아들! 자네 아바이 죽어가네
빨리 나오게.
아들 : 아, 어디요.
산바지 : 오조밭으로 나가게.
아들 : 야 욜로로! 아 물도 깊긴 깊다. 아, 거 고기도 수태 많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꼭둑각시)을 조종하는 것으로 삼국시대부터 유래된 것으로 추측되어집니다.서울 근처에는 산대놀이, 황해도지방에서는 해서탈춤, 낙동강 유역과 동해안지역에는 오광대(五廣大)·들놀음[野遊] 등의 탈춤이 각각 성행하였습니다.
작품
내용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꼭둑각시 노릇을 하게 되는데….
* 실제 역사속의 인물 - 청의 마지막 황제 부이.
광서제의 동생 순친왕 재풍의 아들. 1908년 3세로 아이신줴뤄가의 제12대 황제가 되어 선통제라 하였으나, 신해혁명으로 1912년에 퇴위하였다. 1924년 펑위샹에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꼭둑각시와 요술병·수양버들잎과 연엽이·문도령과 자청비 등을 보면, 설화 속에 시가가 삽입되어 예들을 풍부히 볼 수 있다. 물론 同書는 동화집이라는 성격상 흥미를 提高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편자 임의로 설화 속에 시가를 창작 삽입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각시/X꼭둑각시, 댑싸리/X대싸리, 멸치/X며루치,
봉숭아/X봉숭화(단, ‘봉선화’도 표준어), 상판대기/X쌍판대기, 천장/X천정
2. 복수 표준어
둘 다 표준어로 삼는다.
예) 네/예, 쇠고기/소고기, 괴다/고이다, 쬐다/쪼이다, 거츰츠레하다/게슴츠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