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박종기, 1994,〈14세기 군현구조의 변동과 향촌사회〉《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1. 서론
2. 고려시대 지방제도의 성립
3. 고려 지방제도의 실상- 행정조직과 운영
4. 고려 중, 후기 지방제도의 변동
5. 결론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립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고려는 이러한 모순을 타파하고자 과거제의 도입과 교육제도의 확대 등 여러 제도를 실시함으로 중앙과 지방의 소통을 도모하고 비교적 개방적인 신분제를 도용함으로서 이 시기를 한국중세사회의 성립으로 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6.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중세사연구, 1998
蔡守煥, 羅末麗初 禪宗과 豪族의 結合,《東國史學》4, 1998
李基白, 韓國史新論, 일조각, 1999
申虎澈, 後三國時代 豪族聯合政治, 개신, 2002 I. 서론
II. 본론
1. 호족의 개념
2. 호족의 성격과 등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08.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중세사연구』1.
具山祐, 1994, 「高麗前期 鄕村社會의 身分·階層的 構成」『國史館論叢』59.
朴恩卿, 1995, 「高麗時代의 郡縣制와 鄕村支配單位」『仁荷史學』1.
具山祐, 1996, 「高麗前期 村落의 존재형태와 隣保組織」『한국중세사연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중세사연구』21(한국중세사학회, 2006)
『고려사』권92, 열전2
황인규,「高麗裨補寺社의 設定과 寺莊運營」,동국역사교육6권, (동국역사교육회, 1998)
조선총독부,『조선사찰사료上』(도서출판 문현, 2010) Ⅰ. 서론 ···············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