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약, 납 그리고 각종 군사 무기와 식량을 실은 배가 파괴되는 피해를 본 반면 조선군은 전사자 7명, 중상자 25명, 청군은 전사자 110명, 부상자 200명에 불과한 피해를 보며 조청 연합군이 대승을 거둔다.
6. 평가
1차 나선정벌 때 조선군은 7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3.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선 정벌은 병자호란 이후의 일이다.
1. 다음 내용과 관계 있는 조선 시대의 학자를 쓰시오. (청담, 경희여)
성리학의 대가로 동방의 주자라 불렸다.
주리론적 입장에서 성리학을 연구하였다.
2. 다음 보기와 같은 현상으로 무엇이 발달하게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한 반감 고조
북벌론 등장 - 임경업 등은 문화적 우월감에서 주장
④ 북벌론의 대두와 나선정벌
내용 : 청에 대한 굴욕을 씻고 명에 대한 의리를 지키자는 주장
주장자 : 송시열, 송준길, 이완, 임경업
중심관청 : 어영청
준비 : 벨테브레의 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通信士) 파견 1) 일제의 침략
2. 광해군의 중립외교 2) 고종의 대외정책
3.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3) 고종에 대한 평가
4. 북벌론과 나선정벌
제3절 조선말기
제3장.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한 적대감정이 일어났다.
② 효종은 북벌을 중시했다.
③ 도요토미가 사망했다.
④ 18C후반 청의 발달한 문화를 받아들여야한다는 주장이 있었다.
⑤ 조선은 강력한 국방력으로 나선정벌을 했다.
답3
(2) 자료와 같은 생각이 대외정책에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3.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