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76건

상도 일부에서 부르는 민요를 가리킨다. 흔히 남도민요라 하는 것이다 음계는 ‘떠는 목’, ‘평으로 내는 목’, ‘꺾는 목(또는 흘리는 목)’의 주로 3음이 많이 쓰인다. ‘떠는 목’과 ‘평으로 내는 목’ 사이의 음정은 4도이고, ‘평으로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민요연구, 이우, 1980 ◎ 윤덕진, 민요 조사 방법의 실제와 수집의 문제점, 한국민요론, 집문당, 1986 Ⅰ. 개요 Ⅱ. 서울민요(한국민요) Ⅲ. 강원민요(한국민요) Ⅳ. 영남민요(한국민요) Ⅴ. 남도민요(한국민요) Ⅵ. 제주민요(한국민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민요의 현장과 장르론적 관심, 집문당 고정옥(1949), 조선민요연구, 수선사 류종목(1990), 한국민요의 현상과 본질, 민속원 문화방송(1994), 한국민요대전-경남남도편 박경수(1998), 한국 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자료원 최철(1992), 한국 민요학, 연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남도잡가 Ⅴ. 민요 1. 경기민요 2. 남도민요 3. 서도민요 Ⅵ. 시조 1. 사대부 시조의 재정비 1) 고응척(1531-1605) 2) 장경세(1547-1615) 3) 이신의(1511-1627) 4) 조존성(1533-1627) 5) 박선강(1555-1617) 2. 사대부 시조의 변이 1) 김광욱(1580-1656) 2) 이휘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남도 민요의 분포와 특징>, 한국민요학회, 2003 나승만, <육자배기의 변화과정에 대한 역사적 인식>, 한국민속학회, 1991 고혜경, 나승만 공저, <남도민요기행 노래를 지키는 사람들>, 문예공론사, 1995 1. 들어가며 2. < 정선아라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