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맞춤법, 띄어쓰기,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을 남한의 규정과 비교해서 알아보았다. 이밖에도 북한의 한글전용 문제, 표준 발음 문제, 한자 문제 등 남한과 비교하여 다른 점이 많다는 것은 남북한의 언어생활의 이질화가 생각보다 많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쌍시옷) ㅉ(쌍지읒)
ㄱ(기윽,그) ㄴ(니은,느) ㄷ(디 남북한 어문 규정의 차이점에 대한 연구.
☺남북한의 맞춤법 규정 비교.
☺남북한 띄어쓰기 규정 비교.
☺외래어 표기법 규정 비교.
☺남북한 로마자 표기법의 비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글맞춤법\", 박이정, 1998.
ㆍ이은정, \"국어학ㆍ언어학 용어사전\", 국어문화사, 1994. Ⅰ. 서론
Ⅱ.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제정
Ⅲ.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개정절차
Ⅳ.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비교
Ⅳ. 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4.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 언어 정책의 차이점
남
북
언중(言衆)들의 언어 관습에 입각한 언어 정책
언어 정책이 한자 혼용과 한글 전용에 국한되어 있으며, 미미하게 국어 순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가 최근에 와서야 맞춤법과 표준어,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래어는 굳어진 것을 인정하고 그렇지 않은 말이거나 새로 들어오는 말은 표기법을 따라서 표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동환(2002) “통일시대의 외래어 표기법” 한말연구학회.
우리는 이러한 외래어의 특성을 염두에 두고 남북한 외래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9.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