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냉각속도에 따른 1. 실험목적
2. STC3, STS3, STD11 세 강재에 포함되어 있는 화학성분
3. STC3 → 탄소공구강 → 수냉경화형
4. STS3 → 합금공구강 → 유냉경화형
5. STD11 → 고탄소-고크롬 공구강 → 공랭경화형
6. 열처리실험실습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냉각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알아본다.
냉각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는 금속 시편의 크기, 형상, Cwt%, 냉각방법, 전처리방법이 있다. 이중 이번실험에서는 강의 시편을 사용하여 연속냉각 속도에 따른 미세조직 및 경도값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도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8. 고찰
이번 실험은 약 한달 간 진행 된 실험이었다. 탄소강 시편을 냉각속도에 따라 미세조직을 관찰 하고 또한 조직의 구조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여 비교해보는 실험이었다. 사진과 같이 표면을 자세히 관찰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따른 경화능을 비교조사하는 것을 상례로 하고 있다. 이때 Austenite화한 후 적정한 물, 기름 또는 특정 냉각제중에 소입시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써 이때의 경화는 Martensite 변태량에 좌우되며 전량 Martensite 조직으로 되었을 때 최고경도치를 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냉각을 빨리 한다 하여도 잔류의 Austenite는 남게된다. 여기서 Quenching 온도를
올려서 했다면, 현재의 잔류 Austenite 양보다 더 많아질뿐 아니라 Martensite
변태를 하지 못하고 상온까지 남은 잔류 Austenite가 경도값을 하락시킨다.
Martensite 조직은 강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